Blog/Tistory. 기본 설정

블로그 스킨 설정 방법, 마우스 오른쪽 버튼(불펌) 금지 코드 첨부 (HTML 정의 / CSS 정의, 핵심요소 10가지)

𓆓물고기𓆜 2023. 10. 4. 16:01
728x90
728x90
BIG

 

 


Ⅰ. Tistory Blog 시작

 

1.  시작하기에 앞서

 

유튜브를 시작하며 추가적인 미디어의 필요성을 느꼈고 블로그를 만들기로 하였다. 


기존에 사용하던 네이버 블로그는 PPT 템플렛, 폰트 등을 공유하는 장소로 마련하였는데, 


그 기조는 유지하고 싶어 새로운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기로 하였다. 


네이버 블로그는 굉장히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티스토리는 그러한 네이버 블로그의 장점을 단점으로 확 끌고 온 듯 하다.

" C 언어의 기본적이 이해가 안되어 있다면 굉장히 어렵다. (본인, Computer의 C자로 모름.)  Σ(=ω= ;) "



유튜브 작업부터, 티스토리 블로그까지.. 쉬운 일이 없다....

열심히 기록해야지..  

 



Ⅱ. 본문

 

1.  스킨설정하기(티스토리 스킨) 

 

가입 후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스킨설정하기(이용자 제작 스킨)이다. 

티스토리에는 무료 스킨들이 10개 정도가 있고 스킨보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스토리 적용하기를 누를 수 있다. 


 

상기 티스토리 무료 스킨 이외에도 프리랜서 개발자들이 올리는 이용자 무료/유료 제작 스킨도 있다.

→  이 스킨을 적용하려면 간단한 HTML 및 CSS 수정이 필요하다. 



우선, 스킨을 내 방식대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스킨 편집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가장 간단하게는 하기와 같이 2가지이다. 

● HTML 적용

CSS 적용

 

아래 해당 내용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였다. 


 

2.  스킨 편집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HTML / CSS 용어 정의)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HTML은 웹 페이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표준 컴퓨터 언어이다. 

웹 개발의 기본적인 기술이며 웹 페이지의 내용을 구조화하는데 필수로 요구된다. 

또한 HTML은 웹 콘텐츠의 전체적인 구조를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일정 요소와 태그의 시스템으로 나타내고 있다. 


HTML와 관련된 핵심 요소를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Elements 
  2. 태그
  3. 속성
  4. Nesting
  5. Document Structure
  6. 시맨틱 요소
  7. 유효성 확인
  8. 텍스트 마크업(Text Markup)
  9. 하이퍼링크 
  10. 미디어 요소


 

HTML와 관련된 핵심 요소 10가지

 

■ 요소 (Elements)

 

HTML 문서는 웹 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정의하는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 태그 (Tags)

 

태그는 HTML 요소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태그는 각괄호(<>)로 둘러싸여 있다. 

각괄호로 구성된 태그는 열림 태그(<태그>)와 닫힘 태그(</태그>) 로 구성된다. 

열림 태그는 요소를 도입하고 닫힘 태그는 해당 요소의 끝을 나타낸다.


■ 속성 (Attributes)

 

HTML 요소는 요소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속성은 일반적으로 여는 태그 내에 배치되며 이름과 값이 쌍으로 작성된다.

 예를 들어 앵커 태그의 href 속성(<a>)은 링크의 URL을 지정하게 된다.


■ 중첩 (Nesting)

 

 HTML 요소를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즉, 한 요소를 다른 요소 안에 배치하여 계층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p> 요소 안에 <strong> 요소를 중첩하여 문단 내 텍스트를 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컴퓨터를 전공한 사람들은 쉽게 아는 내용이지만, 

처음 접한다면 많이 헤매는 부분이기도 하다. 

익숙해지면 이러한 코드 방식을 통하여 자유롭게 구성이 가능하다. 


■ 문서 구조 (Document Structure)

 

일반적인 HTML 문서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데,

<!DOCYPE> 선언으로 시작하여 <html> 요소를 포함하며,

<head>와 <body> 섹션은 두 개의 주요 섹션을 포함한다.

<head> 섹션은 메타데이터와 외부 자원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고,

<body> 섹션은 웹 페이지의 가시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  시맨틱 요소 (Semantic Elements)

 

 HTML5는 웹페이지의 구조에 의미를 부여하는 시맨틱 요소를 도입하였으며, 

<헤더>, <nav>, <main>, <섹션>, <footer>로 페이지의 내용과 레이아웃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유효성 확인 (Validation)


 HTML 문서는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는 일련의 규칙 및 지침에 따라야 하며,

온라인 HTML 검증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HTML 코드가 유효하고 HTML 규격에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다.


■ 텍스트 마크업 (Text Markup)

 

HTML은 단순히 콘텐츠를 구조화하는 것이 아닙니다.

표제어(<h1>~<h6>), 강조(<em>·<strong>), 목록(<ul>·<ol>·<li>) 등과 같은 텍스트 형식 요소도 포함한다.


■ 하이퍼링크 (Hyperlinks)


HTML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하이퍼링크를 만들 수 있고,  <a>(앵커) 요소를 사용한다.


■ 미디어 요소 (Media Elements)


HTML은 웹이미지(<img>), 오디오(<오디오>), 비디오(<비디오>) 등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첨부가 가능하다.

 

 


 

 CSS (Cascading Style Sheets)

→ HTML가 웹 개발을 위한 기초 기술이라면,  CSS는 웹 페이지에 상호작용성을 추가하기 위한 보조 도구이다. 

→ CSS는 HTML 및 XML 문서를 포함한 웹 문서의 프레젠테이션 및 레이아웃을 적용하는 스타일시트 언어이다.


 

CSS 와 관련된 핵심 요소 10가지

 

■ 셀렉터 (Selector)

 

Selector는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HTML 요소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패턴으로, 

예를 들어 모든 <p> 요소, 특정 클래스의 모든 요소, 특정 ID의 특정 요소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 속성 (Property)

 

이 곳에서 속성은 선택한 요소에서 변경하려는 속성이다.

예를 들어 색상, 글꼴 크기, 여백, 패딩 등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 값 (Value)

 

속성에 할당한 값이다. 

예를 들어, 색상 속성을 설정하려는 경우, 값은 blue, #FF0000(16진수 색상 코드), rgb(255, 0, 0)일 수 있다.


■ 선언 (Declaration)

선언은 속성과 그에 상응하는 값으로 구성된다.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규칙 (Rule)

 

CSS 규칙은 선택한 요소의 스타일을 정의하는 선언(Declaration)의 집합입니다. 

규칙은 일반적으로 CSS 스타일시트에 포함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CSS 규칙 집합 (CSS Rule Set)

 

CSS 규칙 집합은 선택자와 곱슬곱슬한 괄호({})로 둘러싸인 선언 블록으로 구성된다. 

내가 원하는 요소에 대한 스타일링을 표현할 수 있다.


■ CSS 셀렉터 유형 (CSS Selector Types)

 

♣ Type Selector:

           HTML 태그 이름을 기반으로 요소를 선택한다. (e.g., p selects all <p> elements).


  Class Selector:

            클래스 속성에 따라 요소를 선택한다.  (e.g., .highlight selects all elements with class="highlight").


  ID Selector:

            고유한 ID 속성을 기반으로 단일 요소를 선택한다. (e.g., #header selects the element with id="header").


  Universal Selector:

          페이지의 모든 요소를 선택한다.  (e.g., * selects all elements).


  Descendant Selector:

            특정 요소의 하위 요소인 요소를 선택한다. (e.g., ul li selects all <li> elements that are descendants of a <ul>)


■ 케스케이드 (Cascade)

 

폭포라고 알려져 있는 이 단어는, CSS에서, 단계적으로 진행한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cascading이란 사용자 스타일, 작성자 스타일, 브라우저 기본값 등 여러 소스의 스타일을 조합하는 과정을 말한다.

Cascade는 서로 다른 스타일이 적용될 경우 우선 순위를 정하여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 특이성 (Specificity)


특이성은 여러 개의 규칙이 동일한 요소를 대상으로 할 때 적용할 CSS 규칙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특이성은 셀렉터의 종류와 그 구성 요소(예를 들어 ID 셀렉터가 클래스 셀렉터보다 특이성이 높음)에 따라 결정된다.


■ 상속 (Inheritance)


일부 CSS 속성은 상위 요소에서 하위 요소로 상속된다. 

예를 들어 상위 <div>에 글꼴 색을 설정하면 그 안의 하위 <p> 요소가 무시되지 않는 한 해당 색을 상속할 수 있다.

 

 


 

3.  스킨 다운로드 하여 적용해보기

 

이제 스킨 설정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1.  기존 사용하던 스킨이 있을 경우, 반드시 백업을 한다.

 (스킨 변경 > 스킨보관함에 현재 사용중인 스킨을 보관)

 

2. 스킨을 다운받아 압축을 푼다.

 

3. 티스토리 스킨편집기 열기

(티스토리 본인 블로그 관리 화면으로 들어 간다. )

 

왼쪽 메뉴의 꾸미기 > 스킨편집을 클릭 후, 오른쪽  "html편집" 버튼을 클릭


 

HTML 적용


다운받아 압축을 푼 스킨에서 html 파일을 메모장으로 연다.  

(모든 파일로 보기)

보통 skin.html 파일을 스킨 html 파일명으로 사용한다.

압축 푼 스킨 루트에서 html 확장자 파일이 보통은 하나만 있다고 한다. 

전체 선택 후.(Ctrl+A) 복사.(Ctrl+C)

티스토리 편집기 화면의 "HTML" 탭을 클릭, 전체 선택 후.(Ctrl+A), 붙여넣기.(Ctrl+V)


 

 

CSS 적용

 

같은 방식)  메모장을 열고 CSS 파일 열기 

(모든 파일로 보기)

보통 CSS 파일을 전체 선택 후.(Ctrl+A) 복사.(Ctrl+C)

티스토리 편집기 화면의 "CSS" 탭을 클릭, 전체 선택 후.(Ctrl+A), 붙여넣기.(Ctrl+V)


HTML/CSS 저장

 

상단 탭 오른쪽의 "적용" 버튼을 클릭 후,

스킨편집기에 붙여넣은 HTML 과 CSS 내용을 "새로고침" 하여 잘 올라 갔는지 확인





기타 파일(들) 업로드




이제 압축푼 파일들 중 images 폴더 안에 있는 모든 파일들을 업로드 하면 된다.

"파일업로드" 탭을 선택한 후 밑 맽의 "+추가" 버튼을 클릭 후 업로드.

 


 

4. 마우스 오른쪽 금지 코드 첨부파일

 

네이버와 또 다른 점, 티스토리는 마우스 오른쪽 금지 설정을 직접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우스 오른쪽 금지 코드 첨부파일

 

소스오른쪽버튼금지.txt
0.00MB

 

1. 포스팅을 모두 작성 후 HTML 모드로 바꿔준다.

2. 숫자 1 옆에 엔터

3. 빈 공간에 하기와 같이 글을 작성한다. 

   (<body oncontextmenu="return false" ondragstart="return false" onselectstart="return false">
"포스팅"
</body>

4. 공개발행

 


 

 

 

 

 

 

 

 

 

 

728x90
728x90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