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현재 준비 중인 앱 – 일정 관리 + 여행 기록 + SNS 공유 기능
📌 1. 개발하려는 앱의 핵심 가치와 목표
📌 2. 기존 일정 관리 앱과의 차별점
Ⅱ. MVP(최소 기능 제품) 설계 방향
📌 1. MVP(최소 기능 제품) 설계 – 빠르게 테스트할 핵심 기능 정의
📌 2. 시장 반응 테스트 – 고객 검증과 피드백 수집 방법
📌 3. 데이터 분석 및 개선 방향 – A/B 테스트와 퍼널 분석 활용
Ⅲ.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방향 설정
📌 1. 최종 목표인 3D 환경과의 연결
📌 2. 앱 개발과 3D 에셋 판매를 연계하는 방법
🚀 린스타트업 실전 과제 – 3D 환경과 일정 관리 앱 개발을 위한 MVP 전략

💡 "스타트업의 성공은 시장 반응을 얼마나 빠르게 분석하고, 피드백을 반영하느냐에 달려 있다!"
💡 "완벽한 제품을 만들기보다, 최소 기능 제품(MVP)으로 빠르게 검증하고 성장해야 한다!"
📌 린스타트업 실전 과제 – 나의 사업을 적용해보자!


나는 어렸을 적부터
다꾸를 정말 좋아했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혼자 그림그리거나,
카페가서 나의 생각을 정리하곤 한다.


그래서 예고도 갔고,
미대도 갔고,

법철학을 좋아해서
법도 전공하고


실내건축디자인도 전공해서
카페에 동기들과 같이
주구장창 밤새가며
3D로 건물도 올려봤다.


이런 욕심 많은 내가
꼭 만들고 싶은 것이 있었다.


바로 효율적이고 예쁘게 관리하는
일정관리앱이다.


현재 내가 준비하는 사업의 최종 목표는
3D 환경을 구축하여
VR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것이다.
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대비할 수 있게
가벼운 3D 증강 프로그램을 만들어
공공기관과 공유하여
사회적 가치를 위해 힘쓰고 싶다.

하지만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먼저,
이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
3D 에셋을 판매하며 기반을 다지고,
동시에 내가 애정하는
일정 관리 앱을 개발하여 시장 반응을 살펴보려 한다.
이후, 이 어플에 위치 추적 기능을 실어
청소년들의 안전한 귀가 시스템을 구출할 예정이고
재난/재해 대비 3D 증강 프로그램을 함께 개발할 것이다.
이번 실전 과제에서는
린스타트업 개념을 활용하여
내가 준비하는 일정 관리 앱을
어떻게 검증하고 발전시킬 것인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다.

더 많은 정보, 혹은
순서대로 포스팅을 보고 싶다면,
아래 노션을 확인해주세요.
https://mongmung-i.notion.site/19f9b1e2cdaa80a984ade6141a87fd29?pvs=4
창업 트랙 사전 캠프 𓆲 | Notion
Copyright © Ryussi Studio All rights reserved
mongmung-i.notion.site
Ⅰ. 현재 준비 중인 앱 – 일정 관리 + 여행 기록 + SNS 공유 기능
개발하려는 앱의 핵심 가치와 목표
나는 일정 관리와
다이어리 꾸미기를 정말 좋아하며,
스티커도 많이 갖고 있다.
일정마다 하루를 정리하고,
여행 기록을 남기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앱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 여행 일정과 위치를 자동으로 기록하고, 맛집 추천 기능이 있는 앱
✔ 하루를 예쁘게 정리하면서, SNS에 한 번에 공유할 수 있는 기능
✔ 일정 관리 + 여행 기록 + 수익 창출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앱
📌 핵심 가치는 ‘여행 일정 관리’이며, 이를 중심으로 MVP를 설계해야 한다.
기존 일정 관리 앱과의 차별점
일반적인 일정 관리 앱은
단순한 일정 기록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내가 개발하려는 앱은
여행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일정을 기록하고,
SNS 공유까지 한 번에 가능하도록 한다.
✔ 위치 기반의 여행 일정 관리 (구글 지도 API 활용)
✔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일정을 꾸미고, 바로 SNS에 업로드
✔ 여행 기록을 수익 창출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
📌 차별점은 ‘위치 기반 일정 관리 + 꾸미기 + SNS 업로드’이다.
Ⅱ. MVP(최소 기능 제품) 설계 방향
MVP(최소 기능 제품) 설계 – 빠르게 테스트할 핵심 기능 정의
린스타트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MVP(최소 기능 제품)으로
빠르게 시장 반응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초기 MVP에서는
핵심 기능만 포함하여,
빠르게 고객 반응을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어떻게 할지는
고민중이다.
목표는 우선,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사업 계획을 좀 더 구체화 한 다음,
생각해봐야지
🔹 초기 MVP에서 구현해야 할 필수 기능
✔ 위치 기반 여행 일정 기록 기능 (구글 지도 API 연동)
✔ SNS 공유 기능 (일정을 꾸미고 한 번에 업로드)
✔ 기본적인 일정 관리 기능 (여행 기록, 스티커 활용)
📌 이 3가지 기능만 먼저 개발하여 테스트하고, 시장 반응을 확인해야 한다.
🔹 불필요한 기능을 배제하고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전략
처음부터 너무 많은 기능을 추가하면
개발 비용과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핵심 기능이
무엇인지 알기 어려워진다.
하지만,
기존 일정앱은 너무 많다.
경쟁 어플이 너무 많기 때문에,
너무 간단한 기능 보다는,
어느정도 실험적이면서
도전적인 기능 설계는 불가피하다.
그래서 내가 생각하기에
제외할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초기 MVP에서 제외할 기능
✔ 결제 시스템 (수익화는 이후에 고려)
✔ 커뮤니티 기능 (SNS 공유로 충분히 대체 가능)
✔ 복잡한 디자인 요소 (기본적인 UI로 시작) > 픽셀도 예쁜 듯
📌 MVP는 꼭 필요한 기능만 포함하고, 불필요한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장 반응 테스트 – 고객 검증과 피드백 수집 방법
🔹 구글 지도 API 활용하여 여행 일정 관리 기능 검증 예정
✔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여행 일정을 기록할 때, 자동으로 위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현
✔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일정 입력 가능하도록 설정
📌 이 기능이 유용한지 테스트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개선해야 한다.
🔹 SNS 연동 기능 테스트 및 사용자 피드백 수집 예정
내가 구체적으로
그로스 해킹 대상으로 선택한
업체는 다음과 같다.
Boost your Productivity on Social Media - SocialPika
SocialPika - Automate and Save Time on your Social Media Posts
Create, Plan and Automate your posts across all your social accounts.
www.socialpika.com
이 업체는 단순 한 번에 SNS에
게시물을 올리는 것만으로 수익을 실현한다.
꽤 많이 사용한다고 알고 있다.
이러한 부분을 비추어 볼 때,
개발에 성공한다면,
수익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단정짓는 것은 아님..)

✔ 일정을 정리한 후, 바로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
✔ SNS에서 사용자가 어떤 방식으로 일정을 공유하는지 분석
📌 사용자들이 SNS 공유 기능을 얼마나 활용하는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필요하면 개선해야 한다.
데이터 분석 및 개선 방향 – A/B 테스트와 퍼널 분석 활용
🔹 허영 지표가 아닌 실행 가능한 지표 설정
✔ 🚫 허영 지표 – 다운로드 수, 가입자 수만 확인하는 것은 의미 없음
✔ ✅ 실행 가능한 지표 – 여행 일정 기록 횟수, SNS 공유율, 사용자 재방문율
📌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 데이터 기반의 제품 개선 전략
✔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무엇인지 분석
✔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하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최적화
📌 MVP를 출시한 후,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선해야 한다.
Ⅲ. 결론
최종 목표인 3D 환경과의 연결
현재 개발하려는 일정 관리 앱은
3D 환경 구축 및 VR 증강현실 구현이라는
최종 목표와 연결될 수 있다.
이 앱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으면,
이후 점차 발전하여 3D 에셋을 활용한
VR 기반의 여행 경험 플랫폼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 향후 목표: 3D 환경과 일정 관리 시스템을 결합하여 더 혁신적인 서비스를 만들기!
앱 개발과 3D 에셋 판매를 연계하는 방법
✅ MVP(최소 기능 제품)으로 빠르게 시장 반응 테스트
✅ 위치 기반 일정 관리 + SNS 공유 기능을 핵심으로 개발
✅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 설정
✅ 성공하면 3D 환경 및 VR 여행 서비스로 확장 가능
📌 린스타트업 방식으로 빠르게 실험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성장시키자! 🚀🔥
'스파르타코딩클럽(앱 개발 창업) > 앱 개발 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창업 과제] 가상 사업 계획서 분석 과제 – 친환경 밀키트 서비스 ‘GreenMeal’ (0) | 2025.02.20 |
---|---|
[린스타트업 사전 과제] 린스타트업 실전 적용 – 개발 예정인 어플과 그 시장 검증 전략 (1) | 2025.02.20 |
린스타트업(Lean Startup) 심화 – 실패 비용을 줄이고, 성공 확률을 높이는 창업 전략 (0) | 2025.02.20 |
린스타트업(Lean Startup)이란? – 최소 비용으로 빠르게 성공하는 창업 방법론 (1) | 2025.02.20 |
[그로스 해킹 독후감] AARRR 프레임워크와 고객 유치·활성화 전략으로 사업 아이디어 구상하기 (0) | 2025.02.20 |